본문 바로가기
영화

진선규 배우의 열연, 카운트

by 이주성 성장기 2023. 2. 22.
반응형

영화 <카운트> 포스터

 

영화 카운트 정보 및 소개

영화 카운트는 2023년 2월 22일 개봉한 한국 영화로, 드라마 장르에 109분의 러닝 타임으로 구성 되어있다. 관람객 평점은 8.70점으로 높은 편에 속하고, 누적 관객 수는 1.3만명이다. 간략한 소개로는 1988년 올림픽 금메달 리스트이지만, 1998년 현재는 평범한 고등학교 선생님으로 일 하고 있는 '시헌'. 선수 생활 은퇴 후 남은 건 고집 뿐이다. 모두를 화나게 하는 행보로 주변 사람들의 마음을 괴롭힌다. 그러던 어느 날, 우연히 참석한 대회에서 뛰어난 실력에도 불구하고 승부 조작으로 기권패를 당한 '윤우'를 알게 된 '시헌'은 복싱부를 만들기로 결심한다. 아내 '일선'의 열렬한 반대와, 교장 선생님의 끈질긴 만류도 무시한 채, '시헌'은 독기만 남은 유망주 '윤우'와 영문도 모른 채 같이 복싱부를 하게 된 '환주', '복안'을 데리고 훈련에 돌입하기 시작한다. 그들만의 가장 유쾌한 카운트가 시작된다.

영화 카운트 줄거리

학생들 사이에서 '광견이'라고 불리는 박시헌은 1988년 올림픽에서 금메달을 획득했지만, 어떤 일로 인해 은퇴를 하게 되고 현재는 고등학교의 체육 교사로 살아가고 있다. 어떤 사건으로 논란의 시기에도 자신의 옆을 지켜준 자신의 아내와 말하는 것은 아빠를 닮은 아들, 그리고 동네 친구 한 명과 평범한 일상을 보내던 어느 날, 교장 선생님의 부탁에 청소년 복싱 대회 초대 인원으로 참석하게 된다. 그곳에서 본 엄청난 실력을 가진 학생 '윤우'를 보게 되고, 동시에 승부 조작 사건으로 '윤우'가 기권을 해야 하는 장면까지 보게 된다. 어느 날, 갑자기 '윤우'는 '시헌'이 일 하고 있는 고등학교에 전학을 오게 되었다. 떳떳하지 못한 금메달이 거슬렸지만 대신 '윤우'의 떳떳한 금메달을 만들고자 '윤우'에게 다시 권투를 할 것을 권하고 복싱부를 만들려 하는데, 학생 부족으로 정원을 채우지 못하자, 평소에 자신의 눈에 띄었던 5명을 강제로 영입해 복싱부를 창설하게 된다. 교장 선생님은 부서를 운영할 돈이 없다고 하고. '일선'은 복싱을 관둔다는 조건으로 살고 있었는데, 그것도 지키지 않겠다고 하고, 아이들은 서로 싸우면서 좋지 않은 방향으로 흘러갑니다. 하지만 다행이 아이들도 서로 화해를 하고, 교장 선생님의 거부에도 꿋꿋이 복싱부를 운영해 나가는 '시헌'. 그렇게 혹독한 훈련으로 지도 학생들을 복싱에서 괜찮은 실력의 아이들로 만들어 놓는다. 1988년 서울 올림픽에서 한국에서 열린 경기로 인해 심판들의 편파 판정이 있어 '시헌'이 금메달을 목에 걸 수 있었고, 이는 '시헌'도 세상 사람들도 원하지 않은 상황이었기에 결국 모든 책임은 '시헌'에게 돌아갔기에 책임을 느끼고 은퇴를 선언했던 '시헌'은 아이들의 성장을 지켜보며 점점 마음이 좋아지고 대회에 진출하게 되는데, 어떤 성적을 거두게 될까.

영화 카운트 후기

실화를 바탕으로 구성 된 영화라 그 시절을 탐닉하는 기분으로 영화를 시청하였다. 실제 1988년 서울 올림픽에 진출하여 금메달을 획득한 박시헌 선수의 이야기를 모티브로 각색해 만든 영화이다. 진선규 배우가 그 시절의 영상을 많이 공부했다고 생각했다. 편파 판정으로 금메달을 획득하게 되었을 때의 표정이 실제 박시헌 선수가 그 시절 지었던 표정과 정말 유사했다. 영화 끝나고 예전 올림픽 영상을 찾아보고 진선규 배우는 정말 열심히 연기하는 배우라고 한번 더 느꼈다. 예전에 한번 내가 좋아하는 TV 프로그램에 나와 인터뷰를 하던 장면을 보고 참 괜찮은 사람이라고 생각했는데, 이번 영화를 보고 역시 내 생각이 틀리지 않았다고 생각했고, 영화 자체는 엄청난 반전이 있거나 그런 영화는 아니다. 줄거리를 대충 보아도 결말이 그려지지만 항상 이런 스포츠를 소재로 한 영화는 내가 머릿속으로 그린 과정들이 화면에 나오면서도 이상하게 감동을 느낀다는 부분이 참 신기하다. 이 또한 배우들의 힘이지 않을까 생각이 들었다. 영화 <카운트>는 가족이나 친구, 연인, 어떤 사이에서 봐도 부담스럽지 않은 영화이다. 진선규 배우가 주연이고 생각보다 웃을 수 있는 부분이 많아서 그렇다. 혹시 이 글을 읽은 사람들의 약속 시간에 영화 <카운트>를 볼 수 있는 공백이 있기를 바라면서 글을 마친다.

반응형

댓글